- Live2D를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Part.1(현재 포스트)
- Live2D를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Part.2(일러스트 제작과 세팅)
- Live2D를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Part.3(Hello, cubism!)
안내.
해당 포스트는 유튜브 강의를 보조하기 위한 포스트입니다.
핵심 교육은 유튜브를 통해 시청 바랍니다.
1부. 시작을 위한 첫걸음.
[Live2D에 대한 설명.]
시작하기에 앞서 Live2D라는 프로그램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흔히 움직이는 2D 일러스트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Live2D는 사실 Live2D Cubism Editor 라는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의 이름입니다. 이 강의를 통해 배울 프로그램의 정식 명칭은 ‘Live2D Cubism Editor’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2D Live 라고 말하면 화낼 거예요.
Live2D Cubism Editor 라는 이 프로그램이 무엇이냐 하면 정말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그냥 2D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그램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게임 등에서 이미지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sprite 라는 동세가 담긴 이미지를 빠르게 전환하면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데 이걸 3D 마냥 2D 이미지에 폴리곤을 씌워 움직임을 주는 프로그램들을 2D 애니메이팅 도구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2D 애니메이팅 솔루션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이번 강의에서 알려드리는 Live2D Cubism 와 Spine2D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최종 애니메이션 결과물만 보고 많이들 혼동하시는데 각 프로그램별로 특징과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하단의 두 프로그램의 특장점등을 보시고 어떤 솔루션을 사용할지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Live2D.
특징.
- 메쉬를 이용한 면 단위 모델링.
- 파라미터 기반 제어.
- 대표적이면서 보편화된 2D기반 버추얼 아바타 제작 프로그램.
- 월 정액제 프로그램.
장점.
- 디테일한 세부 표현 가능.
- 자체적인 물리연산 시스템 내장.
- 클리핑 마스크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
단점.
- 초기 셋업에 필요한 공수가 필요한 편.
- 프로그램 와 임베디드 모델의 전반적인 최적화 부족.
- 모델링의 재 사용성이 낮은 편.
Spine2D.
특징.
- 3D와 유사한 본 구조의 스켈레탈 모델링.
- 캐릭터, 오브젝트, VFX 등 폭넓은 활용성.
- 가동 범위가 크고 화려한 모션 제작에 적합.
- 영구 라이센스 프로그램.
장점.
- 본 구조와 가중치 기능을 활용한 빠른 제작 가능.
- 모델링의 재 사용성이 높은 편.
- FFD(Free-form deformation) 애니메이팅 가능.
- IK 사용 가능.
단점.
- 다소 불편한 구조의 그래프 에디터.
- 클리핑 마스크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 불가.
- .psd 재 편집이 용이하지 않은 편.
[버추얼 아바타 제작을 위한 전반적인 워크 플로우.]
여러분들이 흔히 접하실 수 있는 2D 기반의 버추얼 스트리머들의 아바타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지 워크 플로우를 한번 훑어보고 가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입문하기에 대략적인 흐름을 잡기에 도움이 될 꺼라 생각합니다.
버추얼 모델 제작의 워크 플로우를 간략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캐릭터 컨셉 디자인
- 일러스트 드로잉
- 일러스트 파츠 분리
- 일러스트 모델링
- 모델 애니메이팅
- 임베디드 모델 출력 및 모션 캡처 프로그램 연동
이 강의에서 중심적으로 다룰 내용은 일러스트 파츠 분리 / 모델링 / 애니메이팅 / 모델 출력 및 연동입니다.
하나씩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 볼게요.
1. 캐릭터 컨셉 디자인 / 일러스트 드로잉.
말 그대로 버추얼 아바타에 사용될 일러스트를 제작하는 과정입니다.
캐릭터의 컨셉와 설정, 전반적인 비주얼을 정하고 앞으로의 모델링 과정에서 어떠한 표현과 연출등을 넣을지도 이때 결정됩니다.
이 과정에서 Live2D 애니메이터와 충분한 상의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후반 작업에서 트러블이 생기기도 합니다.
2. 일러스트 파츠 분리.
제작된 일러스트를 큐비즘 에디터에서 편집을 할 수 있도록 하나의 일러스트를 여러 개로 분리하거나 새롭게 그리는 과정을 말합니다.
Live2D 애니메이터 작업자 혹은 조건에 따라 일러스트 파츠 분리 방식이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는 반드시 애니메이터와 충분한 협의를 진행하면서 작업이 진행되어야 후반 작업에서 차질이 생기질 않습니다. 프로급 애니메이터의 경우 직접 파츠 분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러스트레이터가 하는 것에 비해 비 효율적이므로 가능한 일러스트레이터 선에서 파츠 분리를 완벽히 끝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물론 회사 같은 곳에선 애니메이터가 파츠 분리도 합니다...)
3. 일러스트 모델링
파츠 분리가 완료된 .psd 데이터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편집하는 과정입니다.
캐릭터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파라미터에 등록하여 다양한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제작을 합니다.
흔히들 편의상 리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제가 진행하는 강좌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부분이기도 합니다.
4. 모델 애니메이팅
모델링 과정에서 제작한 수십 수백 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캐릭터에게 적절한 움직임을 부여하는 과정입니다. 버추얼 모델을 제작하는 과정에선 애니메이팅의 비중이 그렇게 엄청 높은 편은 아니지만 예쁜 움직임을 위해선 Live2D 작업자의 손을 필요로 합니다.
5. 임베디드 모델 출력 및 모션 캡처 프로그램 연동
열심히 만든 버추얼 모델을 모션 캡처 프로그램에서 사용 할 수 있게 .moc3 와 .json 와 같은 확장자로 출력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VtubeStudio 와 같은 모션 캡쳐 프로그램에 파일을 넣는 과정입니다.
간단하게 Live2D를 이용해서 버추얼 아바타를 제작하는 워크 플로우를 소개해드렸습니다.
해당 워크 플로우는 버추얼 아바타뿐만 아니라 인게임용 리소스 제작에도 동일하며
영상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5번의 과정 대신 애니메이팅을 동영상으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대체되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편] Live2D를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Part.2(일러스트 제작과 세팅)
Live2D 라이센스 구매를 고려 중이신가요?
' UKSQPRDNRN ' 코드를 입력하셔서 라이선스 비용의 9%를 절감해 보세요!*
*연간 플랜, 3년 플랜 대상이며 인디/비즈니스 플랜 모두 활용 가능합니다.
'Live2D > Live2D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ve2D를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Part.2 (0) | 2023.04.27 |
---|---|
Live2D 큐비즘 에디터 3.3버전 튜토리얼 (0) | 2022.05.15 |